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52

TIL01 | JavaScrpit 변수 모던 자바스크립트(저자 이웅모)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. 변수(Variable)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. 다음의 코드를 살펴보자. 10 + 20 위의 코드로는 연산 결과인 30을 재사용 할 수 없다. 연산 결과를 재사용 하기 위해서 변수라는 메커니즘을 사용한다. let foo = 10 + 20; 변수명 foo을 통해 변수값 30을 참조할 수 있다. 즉,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으로 변수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. 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선언이 필요하다. 선언 단계: 변수 이름을 등록해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변수의 존재를 알린다. 초기화 단계: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.. 2021. 9. 26.
[OS] 운영체제 역사 (1950년대 ~ 최근) 💻 1950년대 ENIAC : 최초의 현대적 컴퓨터 (진공관 기반의 컴퓨터. 제 1세대 컴퓨터) 운영체제 없었음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운영체제가 아직 없었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자원을 제어했음 💻 1960년대 초기 프로그램 종류도 좀 많아지고 사용자도 많아지기 시작 배치 처리 시스템 출현 (Batch processing system) 배치처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영체제 출현 💡 배치처리 시스템 ▪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등록해놓으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. ▪ 응용프로그램들의 순서를 어떻게 정하냐에 따라서 실행속도가 달라지게 된다. 👎 단점 ▪ 컴퓨터 응답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. (앞단의 실행시간이 많이 필요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) ▪ 실행 시간도 오래 걸릴 수 있다. (CP.. 2021. 9. 16.
[Pug] Syntax https://github.com/eazisilver/TIL/blob/9dd7cbc3c2fa3c89ad3b9e35ea765383e0b40971/pug/Syntax.md GitHub - eazisilver/TIL Contribute to eazisilver/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 github.com 2021. 8. 5.
[node] setInterval, setTimeout, nextTick 💡 setInterval // setInterval: 1초마다 콜백함수 실행 const interval = setInterval(() => { console.log(num++); }, 1000); // clearInterval(interval); 💡 setTimeout // setTimeout: 6초뒤 콜백함수 실행 setTimeout(() => { console.log('Timeout!'); clearInterval(interval); }, 6000); ✔ nextTick과 setTimout 차이점 setTimeout : 콜백함수가 Task Queue의 제일 끝으로 들어감 nextTick : 콜백함수가 Task Queue의 제일 앞으로 들어가서, 가능한 제일 빨리 실행될 수 있도록 함 2021. 7. 30.
[JS] Dynamic typing (dynamic type vs static type) 💡 동적 타입 언어 dynamic/weak type 자바스크립트, 파이썬, PHP 등 자바스크립트는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선언하지 않는다. 다만 var, let, const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할 뿐이다. 값을 할당하는 시점에 변수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되고 변수의 타입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. 다시말해,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된다. 그리고 재할당에 의해 타입은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. ➡ Dynamic typing var foo; console.log(typeof foo); // undefined foo = 3; console.log(typeof foo); // number foo = 'Hello world!'; console.log(typeof foo); // stri.. 2021. 7. 10.
[JS] undefined와 null undefined와 null은 '값이 없음'을 나타내지만 사용하는 목적도 의미도 다르다 💻 undefined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사용자가 응당 어떤 값을 지정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임에도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않았을 때 undefined를 반환한다. 변수를 선언한 이후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를 참조할 때 var foo; console.log(foo); // undefined 객체 내부의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접근하려고 할 때 var obj = { a: 1 }; console.log(obj.a); // 1 console.log(obj.b); // undefined​ return문이 없거나 호출되지 않는 함수의 실행 결과 var func = function() { } var c = func(); con.. 2021. 7. 10.
반응형